본문 바로가기

학습 STUDY

[경영정보학개론] 디지털 컨버전스 Digital Convergence


디지털 컨버전스

DIGITAL CONVERGENCE


-유선과 무선의 통합 (Wired and Wireless Integration)-

 



경영정보학개론

 

 

2010.10.12. 21:33 작성글

 


Ⅰ. 서론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는 디지털 기술 기반의 여러 제품이나 서비스가 융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제품이나 서비스, 재화로 탄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음성·데이터·영상과 같은 '정보의 융합'이나 방송·통신·인터넷과 '네트워크의 융합', 컴퓨터·통신·정보가전과 같은 '기기의 융합' 등과 같이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형태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과 소비자의 새로운 욕구가 만나면서 더욱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이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핸드폰을 들 수 있다. 주머니 안에 있는 자그마한 기계는 일상생활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작업까지도 가능하게 하며, 음악·인터넷·쇼핑·금융거래 등 전반적인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한다. 향후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발전하게 되면 이러한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과 서비스가 일반화되어 지금 여러 제품들이 하는 역할을 하나의 제품이 대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유선과 무선의 통합이란, 이러한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에 맞추어 새롭게 등장한 개념이다. 기존에 유선으로 가능한 서비스와 제품을 무선제품으로 제공함으로서 유선이 가지는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는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점이다. 최근 경향에서는 유·무선의 통합이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자리잡아가고 있지만, 현실적인 제도적 제약은 이러한 통합을 방해하는 장애물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여러 가지 경제적,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Ⅱ. 사례

 

Ⅱ-A. 해외 성공사례

 

1. 덴마크 TDC의 `듀엣(Duet)'

ㆍ TDC의 유선서비스와 텔레덴마크모바일의 무선서비스가 결합된 상품

ㆍ 발신자가 전화를 걸면 먼저 이동전화로 연결되고, 이동전화가 통화불능 상태이면 유선전화로 착신 전환돼 최종적으로는 음성메일로 저장되는 방식

ㆍ 1997년 유럽 최초로 선보인 결합상품이면서 대표적인 성공사례 (그러나 최근 2년 동안에는 가입자 정체 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함)

ㆍ 성공요인

- 기존 요금의 1/3 수준의 저렴한 요금

- 유선과 무선의 양자택일 가입방식

- 정부의 규제완화

2. BT의 `블루폰(BluePhone)'

ㆍ OnePhone의 실패 후에 새로운 서비스 시스템 제공

ㆍ 유선망이용으로 음질 품질 개선, 비용 절감

ㆍ 단일 단말기와 단일 번호를 사용가능

ㆍ 개인정보를 한 곳에 저장 가능

ㆍ 유선망을 사용함으로써, BT의 유선사업에 수익을 발생

ㆍ BT의 이동통신 사업 진입을 가능하게 함 ⇨ 이미지 혁신

ㆍ 시범서비스 제공으로 인한 점진적 품질 향상

 

 

Ⅱ-B. 해외 실패사례

 

1. AT&T의 퍼스널 네트워크

ㆍ 케이블TV, 이동전화, 지역전화 등을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ㆍ 유무선 간의 물리적 통합이 없는, 단일 고지서 패키지 상품

ㆍ AT&T는 이를 위해 1,100억 달러를 투입했으나 2년 만에 실패로 끝남

ㆍ 실패원인

- 다양한 서비스의 신청, 처리, 과금 등을 통합하여 제공하지 못함

- 빈번한 과금 오류로 인한 고객불만

2. BT의 `원폰(OnePhone)'

ㆍ 1999년 세계 최초의, 단일 단말기&단일 전화번호를 이용한 유무선 통합상품

ㆍ 출시 6개월만에 사라짐 (최근 유무선 자동전환이 가능한 서비스를 Bluephone이라는 새로운 브랜드로 내놓음)

ㆍ 실패요인

- 수동으로 유무선 전환을 해야 하는 불편함

- 시장조사결과와 다른 고객층 공략

- 가입조건 문제(OnePhone 서비스 가입 시 Flexinumber 서비스 반드시 가입)

- 번호체계 문제(서비스 가입자에게 기존번호와 다른 별도의 신규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이용ㆍ확산에 장벽요인으로 작용)

- 유무선 분리과금(규제로 인한 통합 빌링 금지로 유선, 무선, Flexinumber의 3종류의 고지서가 발행되어 이용자의 불편 가중)

 

 

Ⅱ-C. 국내경향 및 사례

 

1. 삼성네트웍스의 WiFi/셀룰라 듀얼폰 FMC

ㆍ 삼성네트웍스의 국내 최초 Dual mode ‘삼성 Wiyz 원폰’ 서비스출시(2008년 1월)

ㆍ 실내: WiFi폰(‘삼성와이즈 070’ 인터넷 전화)

ㆍ 실외: 셀룰라 전화(SK텔레콤)

ㆍ 삼성전자에서 아웃소싱으로 ‘WiFi망—셀룰라 망’ 구간 Vertical 핸드오버 기술(UMA) 개발

ㆍ 삼성전자 ‘울트라메시징’(SCH M620, 일명 ‘블랙잭 ) 단말 제공

ㆍ 앞으로 WiFi에서 HSDPA, WiBro등으로 넓혀 나갈 예정

2. LG데이콤의 ‘myLG070’

ㆍ 저렴한 요금이 경쟁력

ㆍ Mobile VoIP(와이파이폰)

ㆍ LG데이콤의 ‘myLG070’

ㆍ 국내 인터넷 전화 시장의 지배적 사업자로 부상

ㆍ KT의 인터넷 전화 사업 SoIP는 애매모호한 전략

ㆍ myLG 070서비스의 집전화 시장의 반란

- 2008년 7월 : 80만

- 2008년말 : 140만

- 2009년 9월 현재 : 185만 초과(국내 인터넷 전화의 선두 사업자)

ㆍ 사업 현황

- ARPU:1만~1.2만원

- 부가 서비스 매출: 10% 미만

- 단말 가격: 5.4만원(저가 단말), 7.2만원

- BEP: 가입자 200만

ㆍ 앞으로 사업 전망

- 100만 이상되는 경우 사업전략 변화 예상: ‘1인 5회선’에서 ‘1인 1회선’으로 전환

- 국제전화 제한 또는 추가 요금 부과(외국에 단말을 가져가서 국제 통화 저렴하게 함)

- myLG070 + 셀룰라 전화= FMC 전략으로 업그레이드

3. LG텔레콤의 ‘기분존’ FMC

ㆍ 블루투스 기반의 AP: ‘알리미’(‘Virtual 집전화 커버리지’ 설정하여 저렴한 요금 적용)

ㆍ 실내에서 유선 전화 수준의 요금, 착신 트래픽의 ‘접속료’ 수익으로 보충

ㆍ 원가면에서는 비효율적(실내와 실외 휴대폰 통화가 원가면에서 차이가 없음)

ㆍ 기분존 개요

- 블루투스 기반의 AP(‘기분존 알리미’)를 이용하여 휴대폰 실내 발신 통화를 구분하여 저렴한 시내 요금(39원/3분)을 부과하는 요금 기반의 Home Zone 서비스

- ‘알리미’에 의하여 실내 유선 전화 요금이 부과되는 ‘가상적인 Home Zone’ 커버리지가 규정됨

- Femtocell에 비하여 통화 요금 원가 관점에서 비효율적인 서비스(실내통화 완전한 정액제 적용 어려움)

- 기분존의 ‘알리미’ 기능: 7대까지 기분존 휴대폰을 등록 가능

ㆍ 반경 30m 커버리지내에서 발신하면, ‘표시창’에 집모양, “기분존 서비스지역입니다.” 메시지를 Pop-up창에 나타냄

ㆍ 전원 중단 10초 이상 계속되면, 재등록해야 함, 월간 재등록회수 제한(불법 사용 방지)

4. KT의 Ann폰

ㆍ KT의 ‘Ann폰’: 휴대폰(Femtocell)의 집전화 시장 침투 대응용

ㆍ ‘안폰 1’(아날로그)에서 ‘안폰 2’(디지털)로 발전

ㆍ 기존 Cordless Telephone(무선 전화)를 기반으로 발전

ㆍ DCP(Digital Cordless Phone) + SMS(Short Message Service)

ㆍ 실내에서의 휴대폰 사용을 흡수하여 집전화 시장 지키기

ㆍ 전화 번호부 기능

ㆍ 통화 기록

5. 하나로텔레콤(현, SK브로드밴드)의 하나폰 Mate(KT의 Ann폰에 해당)

ㆍ 하나로텔레콤의 ‘하나폰 MATE’

ㆍ KT의 ‘Ann폰’의 경쟁 서비스로 출시

ㆍ 2.4GHz 대역의 DCP기반에 부가 기능 구현

ㆍ 1.5 인치 컬러 LCD

ㆍ 다양한 기능 구련(CID 기능, 전화 번호부 기능, 전자 계산기 기능, SMS 기능 등)

 

 

Ⅲ. 결론

 

 여러 사례들을 통해 최근 유·무선 통합의 경향은 통신사업에 있어서 유선 서비스와 무선 서비스의 통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공 및 실패 사례를 통해 FMC서비스가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하게 된 요인들과 활성화 되어 발전할 수 있는 요인을 알아볼 수 있다. 최근에는 유·무선통합서비스도 IPTV를 중심으로 한 방송통신융합서비스의 한 구성요소로서 고려되고 있다. 이로 인해 결합상품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유·무선 서비스의 특성 상 소비자 층의 반응이 사업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상황에서, 유·무선통합서비스를 과거와 같이 단순한 음성결합서비스 수준에서 고려하기 보다는 다양한 컨텐츠와 기능의 추가, 그리고 서비스간 연계를 통해 진정한 의미의 유·무선통합서비스로 재도약할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정부에서 제한하고 있는 여러 규제를 완화하여 사업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디지털 격차가 발생 및 일부 사업자의 독과점화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업의 확장 과정에 있어서 좀 더 넓은 분야에서의 토의가 필요할 것이다.